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here
- 정처기 합격
- Model
- ResponseBody
- jqgrid 개념
- 정보처리기사 필기
- 트랜잭션
- JVM Heap
- implements
- 제이큐그리드
- spring
- 어노테이션
- java
- JQuery
- jqGrid
- Javascript
- HTML
- 스프링
- View
- mysql
- ModelAndView
- SQL
- HTTP
- extends
- Class
- ModelMap
- 자바
- 정보처리기사 합격
- MariaDB
- 개발자 이직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6)
크리스의 개발일기
더미 데이터(dummy data)란? 유용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지만 공간을 예비해두어 실제 데이터가 명목상 존재하는 것처럼 다루는 유순한 정보를 의미한다. 여러건의 물리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페이징 테스트 등)할 때 사용한다. 더미 데이터 삽입 프로시저 생성 DELIMITER $$ DROP PROCEDURE IF EXISTS loopInsert$$ CREATE PROCEDURE loopInsert() BEGIN DECLARE i INT DEFAULT 1; WHILE i
카테시안 곱(Cartesian Product)이란?=> union(합집합)/ interction(교집합)- From절에 2개 이상의 Table이 있을때 두 Table 사이에 유효 join 조건을 적지 않았을때 해당 테이블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전부 결합하여 Table에 존재하는 행 갯수를 곱한 만큼의 결과값이 반환되는 것이다. ►►►►►►►►►►►►►►► 쿼리본문제공 ◀︎◀︎◀︎◀︎◀︎◀︎◀︎◀︎◀︎◀︎◀︎◀︎◀︎◀︎◀︎더보기CREATE TABLE COMP ( COMP_ID VARCHAR(10) NOT NULL COLLATE 'utf8_general_ci', COMP_NM VARCHAR(200) NULL COLLATE 'utf8_general_ci', COMP_AD..
의문의 시작? - MySQL에서 유형별로 갯수를 가져오고 싶을때 단순히 COUNT 함수로 데이터를 조회하면 전체 갯수만을 가져옵니다. 이때 유형별로 조회된 갯수를 알고 싶을 때는 컬럼에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 있는 GROUP BY를 사용해야합니다. 특정 컬럼을 그룹화 하는 GROUP BY 특정 컬럼을 그룹화한 결과에 조건을 거는 HAVING (+추가내용 WHERE과 HAVING 사용에 있어 혼돈이 많은데 WHERE은 그룹화 하기 전, HAVING은 그룹화 후에 조건입니다.) GROUP BY 절이란? : 특정 속성을 기준으로 그룹화 하여 검색할 때 그룹화 할 속성을 지정한다. SELECT [DISTINCT] 컬럼, 그룹 함수(컬럼)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GROUP BY Group대상] [..
그룹 함수란? : 하나 이상의 행을 그룹으로 묶어 통계정보를 계산하는 함수이다. 함수명 기능 사용 COUNT 테이블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행위 개수를 구하는 COUNT(컬럼 | *) MAX 지정된 컬럼 값 중에서 최대 값을 구하는 함수 MAX(컬럼) MIN 지정된 컬럼 값 중에서 최소 값을 구하는 함수 MIN(컬럼) AVG 해당 컬럼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함수 AVG(컬럼) SUM 해당 컬럼 값들의 총합을 구하는 함수 SUM(컬럼) VARIANCE 분산을 계산한다. VARIANCE(컬럼) STDDEV 표준편차를 계산한다. STDDEV(컬럼) 특징 반드시 하나의 값만을 반환한다. NULL 값이 있는 컬럼은 조회에 포함하지 않는다. NULL 값이 무시되지 않으려면 NVL, NVL2와 같은 함수를 이용한다. G..
[SQL]스칼라 서브쿼리란? - Select-List에서 서브쿼리가 사용될 때 이를 스칼라 서브쿼리라 칭한다. - select 절에 서브쿼리를 사용하여 하나의 컬럼처럼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특징 1. 하나의 레코드만 리턴이 가능하며(반환값이 한개여야 하고), 두개 이상의 레코드는 리턴할 수 없다. 2. 일치하는 데이터 값이 없더라도 NULL값을 리턴할 수 있다. 3. join 대체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join에 비해 빠르게 결과 도출이 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CASE BY CASE) SELECT A.COMP_ID, COUNT(B.FACTO_ID) AS CNT ,( SELECT comp_NM FROM comp WHERE 1 = 2 ) FROM comp A LEFT OUTER JOIN ..

Servlet 이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 Servlet Lifecycle이란? : 모든 서블릿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메소드를 호출하며 생성되었다가 소멸하는 생명 주기를 가집니다. 1. init() 메소드를 호출하여 초기화 2. service() 메소드를 호출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3. destroy() 메소드를 호출하여 종료 init() 메소드 - 서블릿 요청시 맨 처음 한번만 호출됩니다. - 오로지 서블릿이 생성 될 때만 호출되며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호출되지 않습니다. - 주로 반복적으로 해야하는 기본 세팅을 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

truncate 와 delete drop의 차이 -삭제후 용량차이 -where 적을수 있나
HWM(High Water Mark)이란? : (=고수위) 일반적으로 테이블을 읽는다는 것은 해당 테이블의 처음부터 HWM가 가리키는 곳까지 읽는 것을 말한다. 모든 세그먼트는 세그먼트안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경계선을 가지는데 이 경계선을 HWM라고 한다. 특징 1. HWM은 증가하기만 한다. 2. Truncate 명령을 사용하면 header block위치로 돌아오게된다. 3. DELETE 명령을 사용하면 HWM의 변화는 없다. 출처: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uncyboy&logNo=8002401401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blog.daum.net/oraclejava/15867621
selector란? - 선택자란 말 그대로 선택을 해주는 요소- 특정 요소를 선택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함 출처www.nextree.co.kr/p8468/#:~:text=1.%20CSS%20%EC%84%A0%ED%83%9D%EC%9E%90(Selector),%EC%A0%81%EC%9A%A9%ED%95%A0%20%EC%88%98%20%EC%9E%88%EA%B2%8C%20%EB%90%A9%EB%8B%88%EB%8B%A4.
트랜젝션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DB)의 상대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 트랜잭션의 특징 1.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이다. 2.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요구 시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 변환 과정의 작업단위이다. 3.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되거나 Rollback된다. 간단하게 말하여 SELECT, UPDATE, INSERT, DELETE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자성 (Atomicity) 일관성 (Consistency) 독립성 (Isolation) 지속성 (Durability) 참고 자료 및 출처 mommoo.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