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riaDB
- HTTP
- ModelMap
- 제이큐그리드
- 어노테이션
- jqgrid 개념
- JVM Heap
- Class
- mysql
- jqGrid
- extends
- 트랜잭션
- View
- 정보처리기사 합격
- SQL
- Where
- 자바
- ModelAndView
- Javascript
- 스프링
- JQuery
- HTML
- implements
- ResponseBody
- 개발자 이직
- 정보처리기사 필기
- java
- spring
- Model
- 정처기 합격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6)
크리스의 개발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oVvO/btqMOyRfrCz/RpkT5VLuf0s59b40CZfvgK/img.png)
JOIN 이란?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엮어 조회하는 방법 Inner Join : (= 교집합) 서로 매칭 되는 것만 조회한다 Outer Join : (= 합집함) 매칭 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미매칭 데이터도 함께 조회된다. : A(=Left), B(=right) 기준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 기준 테이블 값 + 테이블과 기준 테이블의 중복된 값이 보인다. : Outer Join은 매칭뿐만 아니라 미매칭 데이터도 함께 조회한다. : Outer Join에는 Left Outer Join, Right Outer Join, Full Outer Join이 있다. : Left, Right는 미매칭 데이터도 조회할 테이블 방향이다. - 따라서 Left Outer Join은 왼쪽에 기입한 테이블이..
DOM(문서 객체 모델, Document Object Model)이란? - XML이나 HT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 추가 설명: shldhee.github.io/2018/04/08/DOM/
@pathvariable 이란?? : 경로를 변수화 해주는 어노테이션 @RequestMapping(value="/chrisTest/{no}",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chrisTestView(Model model, PageCriteria pc, @PathVariable("no") int no){ service = new ChrisTestService(); service.exec(model, dao, pc); return "chrisTestView"; } @pathvariable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도메인 : http://localhost:port/chris/test/no=1 @pathvariable을 사용할 경우 도메인 : http://localhost..
- Tag에 링크 걸기 => Tag명만 입력 how to link at Object, h1 tag p tag : 특정 Tag에 css에서 link를 걸어주고 싶을때는 해당 tag명(h1)을 입력한다. - Class에 링크 걸기 => " . " 사용 first second third : tag에 링크를 걸어서 css를 바꿔주면 중복이 생기기 때문에 특정 class명을 사용하여 구분해주어야 한다. => tag에 class명을 부여하여 css파일에서 .classname{ } 으로 접근한다 - ID에 링크 걸기 => "# " 사용 first second third : ID는 거의 Class와 같은 기능입니다. 특정 태그를 선정한 후 디자인을 다루기 위해 사용합니다 => tag에 id명을 부여하여 css파일에서 ..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란? - 브라우저 내에서 비동기 기능(신호를 보냈을 때 새로운 HTML을 로딩 할 필요 없이 동작 수행(빠르게 동적으로 페이지를 변화 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법 -최근에는 XML 보다 JSON을 더 많이 사용한다. 동기 방식 비동기 방식 - 서버에 신호를 보냈을 때 응답이 들어와야 다음 동작 수행 가능 - 신호를 보냈을 때 응답 상태와 상관없이 동작 수행 가능 - 자료를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의 진행 시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jax 장점 - 비동기식으로 처리 가능하여 웹페이지 속도 향상에 큰 기여를 한다. Ajax 목적 - 화면 전환 없이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측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다. ..
쿠키란? -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서버에 생성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 - 데이터의 형태는 Key와 Value로 구성되어 있고 String 으로 이루어져 있음. 쿠키의 특징 - 이름, 값, 만료일, 경로 정보로 구성되어있다. 세션이란? -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는것을 세션이라 한다. 세션의 특징 1. 세션 아이디는 웹 브라우저 당 1개씩 생성되어 웹 컨테이너에 저장되며 브라우저 종료시 소멸된다 2. 쿠키와 달리 로그아웃을 하면 쿠키가 삭제되어 보안성이 높다. 3. 브라우저를 닫거나 세션을 삭제했을때만 삭제가 되므로 쿠키보다 보안이 좋다 4. 저장 데이터에 제한이 없다 5. 고유 Session ID를 부여하여 클라이언트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통점과 ..
//2020-11-04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 //(조건)? 명령문1 : 명령문2; var ternaryOper1 = (5>4) ? 50 : 40; console.log(ternaryOper1); var ternaryOper2 = 0; if(5 > 4){ ternaryOper2 = 50; }else{ ternaryOper2 = 40; } console.log(ternaryOper2); /* [].forEach(callback, thisArg) : for문과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기능을 수행할 떄 사용. 하지만 for문 처럼 index와 조건식, increase를 정의하지 않아도 call back 함수를 통해 기능 수행 가능함 */ const arr = [0,1,2,3,4,5,6,7..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413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